한번씩 냉장고도 점검하고 정리를 해야하는데요 냉동코다리 소분해둔것이 한봉지 남아서 빨리 처분해야할것같아 코다리조림을 해봤습니다. 생선조림에는 무가 보통 들어가지만 배추우거지 데쳐놓은것이 있어 넣고 조리고.. 무청시래기나 배추우거지를 넣어조리면 간이 배어 메인인 생선보다 더 맛있기도 합니다. 남편이 생선을 좋아하지만 코다리는 유독 좋아하지않아서 차례가 밀린것인데 더 늦기전에 조림을 했더니 결국 거의 제차지가 되었지만요.. 재료 : 냉동코다리2마리, 배추우거지, 양파1/2개, 대파1대, 표고버섯, 홍고추2개, 양념(마늘1큰술, 된장1/2큰술, 간장5큰술, 고추가루2큰술, 무발효액1큰술, 생강술1큰술), 멸치육수 웍에 데친 배추우거지를 길게 찢어담고 코다리를 올립니다. 위에 양파, 슬라이스표고, 대파, 홍고추..
양평집 텃밭에 심어준 무를 뽑아 무는 저장무로 보관하거나 김장에 쓰고 무청은 이틀쯤 말리고 데쳐서 일부 냉동보관하고 일부는 무청시래기나물을 만들었습니다. 원래 음식에 들깨 넣는걸 좋아하지않았는데 나이가 들어가니 들깨 들어간 음식도 괜찮아진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번엔 들깨를 넣어 조려봤습니다. 무청시래기를 길게 잘라 밥에 척 걸쳐먹어도 맛있었지요. 재료 : 무청시래기 한줌, 멸치육수, 국간장4큰술, 들깨가루2큰술, 마늘1큰술, 무발효액1큰술, 참기름, 통깨 무청시래기 입니다. 무청만 잘라 데크의 나무벤치에 주욱 널어놓고 이틀만 말려 약간 꾸덕 말랐을때 삶았습니다. 무청시래기가 너무 바삭 마른건 딱딱해서 부드럽게 먹으려구요.. 무청시래기를 푹 삶아 연하라고 껍질을 벗겨내고 깨끗이 씻었습니다. 멸치육수를 만들어..
텃밭에서 배추쌈으로 먹으려고 미리 한포기 뽑아서 쌈으로 먹고 남은 노란 속잎으로 부쳐본 배추전 입니다. 요즘 배추전도 맛이 있지요. 이웃집에서 키우던 칠면조 2마리를 잡아 백숙을 해서 이웃들을 초대했기에 이 배추전과 부드러운 시래기찌개를 만들어 가져갔습니다. 배추전을 사진만 찍고 가져가서 먹기좋게 잘랐습니다. 요즘 배추전이 맛이 있어 인기가 좋았답니다. 재료 : 배추속잎, 반죽(메밀가루, 부침가루, 물), 소금물, 카놀라유 배추속잎을 좀 부드러워지라고 소금물에 잠시 절였습니다. 깨끗이 씻어 물기를 빼고.. 메밀가루 부침가루를 반반하여 물을 넣고 묽게 반죽을 해줍니다. 배추전은 반죽을 묽게 해야 부치기가 수월합니다. 후라이팬에 카놀라유를 두르고 배추잎을 반죽을 골고루 묻혀 올려 부쳐줍니다. 앞뒤로 뒤집어가..
지난번에 용문장날 장터에서 톳을 사서 톳밥을 해먹고 나머지는 톳무침을 했습니다. 톳무침은 여러가지 방법이 있지만 우리입맛에는 초고추장으로 무친 새콤달콤한 톳무침이 제일 나은듯 합니다. 밥에 슥슥 비벼먹으면 별다른 반찬도 필요없답니다. 재료 : 톳 한봉지, 양파1/4개, 쪽파3줄기, 마늘1큰술, 멸치액젓1큰술, 고추가루1큰술, 무발효액1큰술, 식초2큰술, 초고추장(고추장1큰술, 설탕1큰술, 식초2큰술), 참기름, 통깨 톳을 주물러가며 깨끗이 씻어줍니다. 끓는물에 넣어 파래질때까지 잠시 데칩니다. 찬물에 씻어 물기를 빼고.. 먹기좋게 잘라 스텐볼에 담습니다. 마늘, 양파, 쪽파, 멸치액젓, 무발효액, 고추가루, 식초를 넣어 조물조물 무쳐줍니다. 아무래도 원하는 맛이 안나 초고추장을 추가해서 조물조물 무쳐주었..
텃밭에 여러가지 콩들을 심어서 수확했는데 콩종류가 많다보니 수확한 콩들도 크고작고 알록달록.. 강남콩, 쥐눈이콩, 파란콩, 울타리콩 등등.. 같이 섞어서 콩조림을 해봤습니다. 강남콩은 부드럽게 조리는게 좋아서 하루 콩을 불려서 부드러운 간장조림으로.. 간장으로 조려도 다양한 콩들이 보이지요? 재료 : 여러종류의 콩들, 물, 간장5큰술, 올리고당1큰술, 조청(물엿)1큰술, 통깨 수확한 콩들 입니다. 텃밭이 작아서 콩종류는 많지만 양은 많지않고 요만큼.. 알록달록 이쁘지요? 수확해서 말렸습니다. 부드러운 콩조림이 좋아서 하루밤낮으로 불렸습니다. 부드럽게 불려진 모습. 콩종류들이 이렇게 다양한줄은 몰랐네요. 불려진 콩을 냄비에 담고 물을 충분히 넣어 뚜껑 덮고 중불에서 뭉근히 끓여줍니다. 부드럽게 익을때까지...
갑자기 김밥이 먹고싶어 직접 멸치김밥 참치김밥을 만들어 저녁식사로 먹었습니다. 요즘 멸치김밥이 인기인것 같은데 마침 견과류멸치볶음이 있었고 양평집에선 거의 삼시세끼를 직접 해결해야하기에.. 오랜만에 김밥을 말아보았네요. 시중의 멸치김밥은 약간 칼칼한 맛도 있던데 견과류멸치볶음이라 좀 밋밋했고 마요네즈 들어간 참치는 느끼해서 양념참치로 만들어서 했더니 맛이 깔끔하네요. 저녁식사를 간단히 한다고 만들어봤는데 결과는 간단하지가 않았지만요.. 재료 : 밥2인분, 김4장, 무장아찌, 우엉조림, 양념참치, 깻잎8장, 견과류멸치볶음, 계란지단, 참기름, 통깨 무장아찌를 채썰어 참기름 통깨를 뿌려 버무리고, 계란지단을 부치고, 우엉조림 멸치조림 깻잎을 준비하고, 양념참치는 참치에 마늘 간장 고추가루 물약간을 넣어 조려..
텃밭에서 제법 자란 무를 뽑아와 무생채를 만들어봤습니다. 가을에 수확한 무로 무생채를 만들면 연하고 맛도 시원해서 겨울까지 수시로 만들게 됩니다. 따끈한 밥에 올려 슥슥 비벼먹으면 별다른 반찬도 필요없답니다. 무생채 만드는법 입니다. 재료 : 무1개, 마늘1큰술, 대파1/3대, 멸치액젓2큰술, 소금1작은술, 고추가루2큰술, 무발효액1큰술, 설탕1큰술, 식초2큰술, 참기름, 통깨 무를 깨끗이 씻고 껍질을 필러로 벗겨주고 길게 반으로 갈라 채칼로 채썰어주었습니다. 마늘, 멸치액젓, 고추가루, 무발효액, 설탕, 식초, 소금을 넣어 조물조물 무쳐줍니다. 고루 간이 배게 무쳐졌으면 참기름, 통깨를 뿌리고 다시 조물조물 무쳐줍니다. 완성입니다. 윤기나게 보이지요? 그릇에 담아 식탁으로.. 따끈한 밥에 슥슥 비벼먹으..
텃밭에 심어준 김장배추가 알이 차기시작해 한포기 뽑아와 배추국을 끓여봤습니다. 아직 결구가 안된것도 있고 이제막 결구가 된것도 있어 속이 덜찼는데요 김장할 양보다 여유있게 심었기에 한번씩 뽑아서 겉절이도 하고 배추국, 배추전도 해먹으니 이리 좋을수가 없네요. 부드럽고 달큰하고 구수합니다. 재료 : 배추속 한포기, 멸치육수, 대파1대, 마늘1큰술, 건새우 한줌, 된장2큰술, 고추장1큰술 억센 겉잎은 떼어내 따로 데치고 부드러운 속잎만 사용했습니다. 먼저 쌀뜨물에 멸치육수를 끓입니다. 멸치 등 건더기를 건져내고 된장, 고추장을 넣어 잘 풀어놓습니다. 국물이 끓으면 배추를 먹기좋게 잘라넣고 끓여줍니다. 대파, 마늘도 넣어주고.. 마지막에 건새우도 넣어 잠시 끓여줍니다. 건새우는 없으면 안넣어도 됩니다. 좀더 ..
- Total
- 1,665,138
- Today
- 708
- Yesterday
- 1,477
- 튤립
- 가을꽃
- 정원
- 꽃기린
- 클레로덴드롬
- 일년초
- 다년초
- 양평집
- 강릉
- 오렌지자스민
- 씨앗발아
- 양평 용문
- 양평 용문 맛집
- 맛집
- 우리동네
- 화분식물
- 터키여행
- 아열대식물
- 익소라
- 노지월동
- 텃밭
- 정원식물
- 구근식물
- 삽목
- 터키
- 제주도
- 실내월동
- 제철음식
- 부겐베리아
- 냉파요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