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351)
(정원식물) 올해 처음 씨앗파종한 피마자(아주까리) 꽃과 열매 피마자(아주까리)는 어릴때 마당에 흔히 심어져 있었고 정월대보름에 묵나물로 해먹던 기억이 있어 봄에 씨앗을 얻어 처음으로 파종해봤습니다. 텃밭은 작아서 심을곳이 없고해서 정원 한켠에 심어두었더니 이렇게나 키가 커진것도 있습니다. 나름 성공적이라고 할수 있겠네요. 묵나물은 너무 뻣뻣한것같아 연한 새로나온 잎을 따서 생나물도 해봤습니다. 묵나물 보다는 연해서 한번은 해먹을만 하다싶었는데요 실은 가을에 씨앗 맺고나면 잎을 따서 데쳐서 말려서 묵나물로 만들어야 한다네요. 피마자 생나물 만드는법이 궁금하시다면 => http://moon104308.tistory.com/839?category=771941 피마자(castor-oil plant) 학명 : Ricinus communis L. 쥐손이풀목> 대극과> 피마자..
(가지전) 김수미 레시피로 만들어본 도톰한 식감의 가지전 양평집 텃밭의 가지가 요즘 많이 열리고 있는데 가지요리는 한정적인것 같고 찾아보니 김수미가지전이 좀 색다르고 괜찮을것 같아 따라해봤습니다. 꽤 두툼하게 썰어서 어떨까 싶었는데 두툼하지만 부드럽고 또 식어도 맛이 괜찮더라구요. 칼집 사이로 양념이 배어들어간 효과도 있는것 같습니다. 재료 : 가지2개, 계란3개, 부침용밀가루, 양념장(간장4큰술, 실파3줄, 홍고추1/2개, 고추가루1작은술, 마늘1/2큰술, 매실청1/2큰술, 참기름1큰술, 통깨), 카놀라유 분량의 재료를 넣어 양념장을 만듭니다. 김수미레시피에는 없는 매실청을 조금 넣어주었습니다. 가지를 두툼하게 어슷썰어 앞뒤로 칼집을 넣어줍니다. 가지를 부침용밀가루를 묻히고 계란물을 입혀서 후라이팬에 카놀라유를 두르고 부쳐줍니다. 앞뒤로 노릇하니 부쳐줍니다...
(정원식물) 꽃 보려고 정원에 심은 도라지가 꽤 군락을.. 도라지꽃을 좋아해서 꽃보려고 양평집에 오자마자 정원에 몇군데 도라지뿌리를 심어주었습니다. 그랬더니 노지월동 잘하고 번식도 많이해서 매년 보라색꽃을 피우고 군락같이 도라지꽃밭이 커졌답니다. 씨앗이 생기는대로 옆에 많이 뿌려주었거든요. 몇군데 심어준 곳 중에서 펜스화단에 심어준것이 꽃대가 아주 키가 커져서 옆의 알프스오토매사과나무만큼 키가 크고 줄기 굵기도 큰것이 아마 3~4년차가 된것이 아닐까 싶은.. 올가을이나 겨울에 한번 캐주고 정리를 해주어야 할것 같아요. 도라지꽃색은 보라색, 흰색 2종류가 있는데 우리정원에는 보라색 뿐입니다. 도라지 학명: Platycodon grandiflorum 영명: balloonflower 꽃말: 기품,따뜻한 애정 쌍떡잎식물강>초롱꽃목>초롱꽃과>도라지속 chinese bel..
(정원식물) 보라색 꼬리가 하늘하늘한 산꼬리풀 양평집 정원에 보라색 산꼬리풀도 꽃피우기 시작했습니다. 노지월동 잘하고 다년생이라 매년 봄 싹나서 이맘때면 하늘하늘 꼬리같은 보라색꽃들을 피웁니다. 번식도 잘해서 주변에 여기저기 씨앗이 날아가 작은 개체가 많이 생겼네요. 원래 있던 포기도 이렇게나 커져서.. 꽤나 꽃들을 많이 피우고 있네요. 산꼬리풀 학명: Veronica rotunda var. subintegra (Nakai) T.Yamaz. 쌍떡잎식물강>통화식물목>현삼과 다년생초로 크기는 약 40~80cm이고 한국,일본,만주 등지의 산지 초원에 자생한다. 잎은 피침형으로 마주나고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잎자루가 거의 없다. 꽃은 8월에 남빛을 띤 꽃이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열매는 납작한 원형으로 꽃받침보다 길다. 뒷쪽의 측백나무 생울타리의 아랫쪽 죽은..
(꽈리고추조림) 텃밭 꽈리고추 따다가 만든 꽈리고추조림 양평집 텃밭에 2포기 심어놓은 꽈리고추가 요즘 얼마나 많이 열리는지요.. 또 한웅큼 따다 마늘, 멸치를 넣고 조림을 해봤습니다. 약간 매운맛도 나지만 금방 딴 신선한 꽈리고추라 더 맛난것 같습니다. 약간 매콤함이 입맛도 잡아주네요. 재료 : 꽈리고추 한웅큼, 손질한 멸치 약간, 마늘6개, 양념(간장4큰술, 매실청2큰술, 꿀2큰술), 카놀라유, 참기름, 통깨 텃밭 꽈리고추를 따다가 식초 몇방울 떨어드린 물에 깨끗이 씻어 적당한 크기로 썰어둡니다. 손질한 멸치를 후라이팬에서 살짝 볶아 습기도 날리고 비린내를 없애줍니다. 분량의 간장, 매실청, 꿀을 넣어 잘 섞어둡니다. 두꺼운 냄비에 카놀라유를 두르고 편마늘을 넣어 볶아줍니다. 마늘향이 올라오면 꽈리고추를 넣어 볶아주다 중불로 줄여 꽈리고추가 익어 숨이 좀 ..
(화분식물) 처음 보는 꽃이라 신기했던 쿠르쿠마 아리스마티폴리아 점심모임을 가진후 지인의 교회카페에 갔다가 난생처음보는 꽃이 있어 사진으로 담아왔습니다. 이름이 쿠르쿠마 아리스마티폴리아 라고.. 알고보니 학명을 그대로 부른것이더군요. 생강과라 다년생이고 열대아시아가 원산지로 영문명은 Siam tulip, summer tulip 이라네요. 우리나라에선 노지월동이 안되기에 겨울엔 실내로 들여야 합니다. 위의 꽃처럼 보이는건 포엽이고 아랫쪽에 진짜꽃이 핍니다. 쿠르쿠마 아리스마티폴리아 학명 : Curcuma alismatifolia 생강과 쿠르쿠마속 다년생 구근식물로 라오스 태국 캄보디아가 원산지 이다. 영문명은 Siam tulip, summer tulip 이고 이명은 불단화 이다. 크기는 1m이상이고 개화기는 6~9월이며 분홍, 흰색의 포엽 아래에 황색, 보라, 적색의 ..
(정원식물) 한여름에 눈같이 하얀 설악초 양평집 정원에 올해 처음으로 피고있는 하얀 설악초꽃 입니다. 이웃에게서 씨앗을 분양받아 서너군데 뿌려두었는데 그중 2군데서 성공적으로 꽃을 피웠습니다. 여름에 눈처럼 하얗게 머리에 이고있는듯 보여 설악초라 부르나봅니다. 잎가장자리에 하얀테두리가 있는건 포엽이고 가운데 작은 하얀 꽃이 진짜꽃 입니다. 설악초 학명: Euphorbia marginata Pursh 쌍떡잎식물강>말피기목>대극과>대극속 꽃말: 환영, 축복 대극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다육식물로 미국중부의 평원이 원산지이다. 키는 60cm까지 자란다. 잎은 연녹색으로 긴타원형이며 줄기끝에 달린 잎은 가장자리가 하얗다. 줄기끝에 잎처럼 생긴 흰색을 띤 포들이 돌려나고 꽃은 그 가운데 7~8월에 흰색으로 피는데 늦여름부터 초가을까지 관상할수있다. 번식은 ..
(노각무침) 요즘 먹을수있는 시원한 노각무침 - 노각무침 만드는법 용문역 근처에 볼일이 있어 나갔더니 마침 용문장이 서고 있었습니다. 오일장인 용문장날은 5일, 10일날 입니다. 구경하느라 둘러보다보니 노각이 보여서 싸게 구입하였지요. 노각은 요즘 같이 한철에만 맛볼수있는 제철식재료인데 이렇게 주로 무쳐서 먹으면 아주 맛이 시원하답니다. 오랜만에 시원한 노각무침을 먹으니 무더위에 달아났던 입맛이 돌아오는듯 하네요. 재료 : 노각1개, 마늘1큰술, 양념(고추장1큰술, 식초2큰술, 매실청1큰술, 꿀1큰술, 고추가루2큰술, 소금1작은술), 참기름, 통깨 노각 입니다. 노각을 필러로 껍질을 벗기고 반으로 갈라 숟가락으로 씨부분을 파내고 얇게 썰어 스텐볼에 담습니다. 분량의 양념재료를 넣어 잘 섞어둡니다. 스텐볼에 마늘과 양념소스를 넣어 잘 버무려줍니다. 마지막에 참기름, 통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