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일락 (10) 썸네일형 리스트형 (미스김라일락) 향기좋은 미스김라일락꽃 보라꽃 피는 라일락과 흰꽃 피는 흰라일락이 피었다지고나니 뒤이어잎도 꽃도 작은 미스김라일락이 개화하며 진한 향기를 내고있습니다.우리정원의 라일락은 모두 3종류 인데 삽목 이나 분주도 잘되어 정원 여기저기에 자리잡고 있습니다.시차를 두고 차례로 피어나니 한동안 정원이 화사합니다. 지금은 이렇게 활짝 핀 상태 입니다.미스김라일락은 잎도 꽃도 작지만 향기는 아주 뛰어나답니다. 삽목도 잘되어 키작은 삽목둥이도 꽃망울이 많이 생겼네요. 꽃이 피어갈수록 진보라색이 연보라색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잎도 꽃도 작지만 참 깜찍하고 이쁩니다.향기는 또 얼마나 좋은지.. 미스김라일락학명 : Syringa patula 'Miss Kim'쌍떡잎식물강> 꿀풀목> 물푸레나무과> 수수꽃다리속원산지는 한국 이고 향기가 뛰어난 왜성라일락.. (라일락) 보라꽃이 피는 라일락과 흰꽃이 피는 흰라일락 정원에 라일락이 3종류가 있습니다.보라꽃이 피는 라일락과 흰꽃이 피는 흰라일락, 작지만 향이 좋은 미스김라일락이 있는데 먼저 보라꽃이 먼저 피고 흰라일락꽃이 뒤를 이었습니다.보라, 흰꽃이 활짝 피고 시들어갈즈음 미스김라일락도 뒤늦게 피기시작합니다.먼저 보라꽃이 피는 라일락과 흰꽃이 피는 흰라일락을 소개드립니다.아래는 외목대로 키우고있는 라일락 입니다.작년엔 꽃이 부실했는데 올해는 큼직한 꽃송이로 좋은 향기를 풍기고 있습니다. 꽃망울이 통통해지더니 금새 개화하기 직전 입니다. 하나둘 꽃이 피고 향기로운 향을 흩뿌리기 시작합니다. 라일락학명 : Syringia vulgaris쌍떡잎식물강> 꿀풀목> 물푸레과> 수수꽃다리속유럽동부와 아시아 온대지역이 원산지 이다.낙엽관목으로 높이 3~7m 이고 줄기는 가지가 갈.. (미스김라일락) 꽃이 작아도 향이 좋은 미스김라일락 정원의 키큰 라일락과 흰라일락이 꽃피우고 진후 키작은 미스김라일락이 꽃피우기 시작했습니다. 미스김라일락은 키도 작고 잎도 꽃도 작지만 향이 아주 진하고 좋아서 근처에 가면 향이 넘실거리네요. 꽃망울이 보라색 이었다가 꽃이 피면 연보라색이 됩니다. 꽃이 하나둘 개화하기시작하면서 향기를 뿜기 시작하네요. 꽃수명도 길어서 수시로 사진을 많이 찍어주었습니다. 꽃도 잎도 작아서 귀엽습니다. 비가 오고나니 개화가 많이 진행되었네요. 라일락은 관목 이라 아래에서 새줄기가 많이 나오는데 그대로 풍성하게 기르기로 했습니다. 전지 하지않고 풍성하게 기르니 꽃송이도 많아졌습니다. 미스김라일락은 키도 그리 크지않아서 보기에도 좋구요.. 미스김라일락 학명 : Syringa patula 'Miss Kim' 쌍떡잎식물강> 꿀풀목>.. (라일락) 정원의 2가지 라일락꽃 정원에 3가지 종류의 라일락이 있는데 지금 한창 꽃피우고있는건 흔히 보는 보라색 라일락과 흰꽃이 피는 흰라일락이 꽃피우고있어 소개드립니다. 좀 있으면 작지만 향이 좋은 미스킴라일락도 꽃을 피울것입니다. 흰라일락은 그동안 어려서 꽃을 보여주지않다가 작년부터 깨끗한 하얀꽃을 피워주고 있습니다. 향도 아주 좋답니다. 꽃이 막 피어날때부터 수시로 담아주었습니다. 배나무 옆에 있던 흰라일락 인데 서로 너무 가까워 크는데 장애가 될까봐 흰라일락을 옮겨심었습니다. 꽃순은 꽤 생겼는데 못피운것도 있어서 총 4개의 꽃송이를 피워주고 있습니다. 많이 내린 비에도 짱짱하니 꽃을 피워주고 있네요. 라일락 학명 : Syringia vulgaris 쌍떡잎식물강> 꿀풀목> 물푸레나무과> 수수꽃다리속 유럽동부와 아시아온대지역이 원산.. (미스킴라일락) 잎과 꽃이 작지만 향이 좋은 미스킴라일락 정원의 라일락과 흰라일락은 이미 졌는데 뒤따라 미스킴라일락이 꽃을 한창 피우고 있습니다. 미스킴라일락은 라일락 보다 키도 작고 잎도 꽃도 작지만 향은 더 진하고 좋은것 같네요. 활짝 피니 현관문을 열고 나오면 향이 느껴지는것 같아요. 라일락에 비해 꽃도 잎도 작은 미스킴라일락 입니다. 꽃도 잎도 작지만 아주 단단해보이는 미스킴라일락 입니다. 꽃망울이 점차 부풀기시작할때 입니다. 첫꽃이 개화할때.. 이때만해도 바깥이라 향이 별로 느껴지지않네요. 라일락 학명 : Syringia vulgaris 쌍떡잎식물강> 꿀풀목> 물푸레나무과> 수수꽃다리속 유럽동부와 아시아 온대지역이 원산지 이다. 낙엽관목으로 높이 3~7m이고 줄기는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마주나고 난형 또는 난상타원형 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 (라일락) 보라색꽃이 피는 라일락과 흰꽃이 피는 흰라일락 우리정원에 라일락이 3종류가 있는데 제일먼저 흔히 보는 보라꽃이 피는 라일락이 꽃을 피웠습니다. 화원에서 큰나무를 구입해서 심어준지 3년이 되었는데 겨울동안 거름을 듬뿍 얹어주어서인지 꽃망울도 가지도 튼실해진것 같네요. 막 피어나기시작할때가 제일 이쁜것 같아요. 올해는 꽃도 튼실하게 꽤많이 피워주었습니다. 라일락 학명 : Syringia vulgaris 쌍떡잎식물강> 꿀풀목> 물푸레나무과> 수수꽃다리속 유럽동부와 아시아 온대지역이 원산지 이다. 낙엽관목으로 높이 3~7m이고 줄기는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마주나며 닌형 또는 난상타원형 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4~5월에 원추꽃차례로 흰색 보라색 연보라색꽃이 피며 향기가 좋다. 열매는 삭과 이다. 한국에는 자생종인 수수꽃다리 섬개회나무 등이 분포한다.. (미스킴라일락) 라일락 보다 꽃도 잎도 작은 미스킴라일락 양평집 정원의 라일락은 일찌감치 꽃이 피었다가 졌고 지금은 꽃도 잎도 작고 향도 좋은 미스킴라일락이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꽃과 잎이 라일락보다 작지만 훨 깜찍하고 단단해보입니다. 꽃이 막 피기시작할때의 모습인데 지금은 활짝 핀 상태 입니다. 라일락은 관목이라 뿌리쪽에서 몇개의 줄기가 나와 있습니다. 활짝 핀 상태 보다 꽃망울이 많이 남아있는 모습이 더 이쁜것 같습니다. 우리나라의 수수꽃다리가 미국으로 갔다가 다시 역수입 된거라네요. 라일락(lilac) 쌍떡잎식물강> 꿀풀목> 물푸레나무과> 수수꽃다리속. 학명 : Syringa vugalis L. 유럽동부와 아시아온대지역이 원산지이다. 수수꽃다리속엔 약 30종이 있다. 낙엽관목으로 잎은 마주나며 난형, 신장형이고 꽃은 4~5월에 흰색, 보라색, 연보라색꽃.. (라일락) 진한 향기를 풍기며 보라색꽃을 피우기 시작한 외목대 라일락 2년전에 심어준 라일락이 진한 향기를 풍기며 보라색꽃을 피우기 시작했습니다. 라일락이 아래에서 가지가 많이 나오는 관목 인데 이 라일락은 화원에서 관리를 해서 외목대로 키운것이기에 나름 거금을 들여 구입해서 심어준것입니다. 작년에는 적응중이어서 좀 연약했는데 월동을 잘하고 거름을 잘 준 덕분인지 튼실하게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요즘 바람이 심한데도 가까이서 맡으면 진한 향기도 선사하구요.. 라일락꽃이 참 이쁘지요? 라일락(lilac) 쌍떡잎식물강> 꿀풀목> 물푸레나무과> 수수꽃다리속. 학명 : Syringa vugalis L. 유럽동부와 아시아온대지역이 원산지이다. 수수꽃다리속엔 약 30종이 있다. 낙엽관목으로 잎은 마주나며 난형, 신장형이고 꽃은 4~5월에 흰색, 보라색, 연보라색꽃이 피며 향기가 좋다..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