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347) 썸네일형 리스트형 (블루베리 수확) 정원의 블루베리나무들 중에서 조생종 블루베리 수확 정원에 블루베리나무가 4그루 있습니다. 그중 2그루는 서울 살때 아파트에서 기르던걸 심어주었는데 알고보니 추운곳에서 잘자라는 북부하이부시가 아니었고 거기다 만생종 이었습니다. 다행히 바람을 좀 가려주는 따뜻한 곳에 심어주어서인지 얼어죽지는 않았구요.. 만생종 이다보니 너무늦게 수확해서 재작년에 조생종으로 묘목 2그루를 심어주었는데 요즘 그중 한그루가 열매가 먼저 익어서 수시로 수확해서 요거트에 넣어먹고있답니다. 아래사진의 조생종 블루베리(M7) 입니다. 봄에 블루베리꽃들이 피어 담아주었습니다. 조생종 블루베리나무(듀크) 입니다. 심은지 3년차가 되니 꽃을 많이 피워주네요. 조생종 블루베리나무(M7) 입니다. 듀크 보다 꽃수가 적습니다. 몇년 키운 만생종 블루베리나무(발드윈) 입니다. 래빗아이 계열 이었네.. (섬초롱꽃) 보라반점이 있는 종모양의 섬초롱꽃 요즘 정원에 흰종모양에 보라반점이 있는 흰섬초롱꽃이 한창 꽃피우고 있습니다. 섬초롱꽃은 내한성이 강하고 번식력이 좋아 몇군데 이식해주었더니 뿌리 잘내리고 꽃을 피워주고 있네요. 아래는 원래 처음부터 심어둔곳이라 제일 많이 피어있는곳 입니다. 비가 오니 무거워서 축축 늘어져 꽃대마다 지지대를 해주었습니다. 올해는 비가 자주 오지않아서인지 보라반점이 좀더 짙어진것 같습니다. 섬초롱꽃 학명 : Campanula takesimana Nakai 쌍떡잎식물강> 국화목> 초롱꽃과> 초롱꽃속 꽃말 : 충실, 정의, 열성에의 감복 다년생풀로 울릉도에 자생하는 한국특산종 이다. 근경 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원줄기는 가지가 갈라지고 능선이있다. 잎은 근생엽은 모여나고 경생엽은 어긋나며 난상심장형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백합) 작년엔 풍성하게 피었던 노란백합 인데.. 올해는 이상기후 탓인지 거름탓 인지.. 원인을 알수없지만 정원의 꽃들이 수난을 겪고있고.. 백합도 예외는 아니어서 여기저기서 풍성하게 피었던 노란백합이 거의 꽃대를 올리지못했는데 겨우 2군데서 기특하게 꽃을 피워주고 있습니다. 이 노란백합은 품종명은 모르지만 번식력도 아주 강해서 몇년새 정원 몇군데서 꽃을 피워주곤 했었지요. 올해는 빈약하나마 이렇게 환한 얼굴을 보여줘서 더 이쁜것 같아요. 노란 꽃잎에 밤색점들을 깨순이처럼 달고있는 노란백합 입니다. 꽃줄기 하나에 여러개의 꽃을 달고있는게 하나 있고 그아래에 한송이만 피우고있는게 하나 있는데 아마 번식을 해서 새끼친것이 아닐까 싶네요. 풍성하게 필때는 몰랐는데 귀해지니까 더 환해보이고 이쁜 노란백합 입니다. 백합 학명 : Lilium longiflorum.. (게일라르디아) 인디언국화, 천인국 이라고도 불리는 게일라르디아 몇년전 정원 여기저기에 씨앗을 뿌려주었더니 해마다 정원을 화사하게 꾸며주었던 게일라르디아가 올해는 정원관리차원에서 많이 솎아내었더니 여기 한군데서만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일년초 라지만 우리나라에선 뿌리가 살아남아 해마다 꽃을 피워주는걸 보면 다년초 수준인것 같네요. 북아메리카가 원산지라 정열적이고 인디언국화란 이름이 딱 들어맞는것 같아요. 다른 천인국들 보다는 꽃색이 좀더 우아해보입니다. 게일라르디아 학명 : Gaillardia pulchellar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게일라르디아속 천인국, 인디언국화 라고도 한다. 북아메리카가 원산지 이고 한해살이풀 이다. 크기는 60cm이고 줄기는 가지가 갈라져서 자라며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긴타원형 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깃처럼 얕게 갈라진다.. (플럼코트살구) 큼직하게 열린 플럼코트살구 수확 올해는 이상기후 때문인지 꽃들도 유실수들도 별로인데 살구나무는 큼직한 살구들을 꽤 달아주었습니다. 우리집 살구나무는 자두와 살구를 교잡했다는 플럼코트 인데 단맛이 많고 신맛이 거의 없습니다. 크기도 상당히 커서 먹을만하더군요. 플럼코트살구는 과피가 살짝 붉으레 합니다. 크기가 꽤 크지요? 봄에 피었던 살구꽃 입니다. 살구꽃은 화사한데 이렇게나 많이 꽃피워주었습니다. 그런데 열매는 드문드문.. 그래도 스무개정도는 열린것같네요. 대신에 크기가 아주 크다는.. 살구가 살짝 노래지려하고있습니다. 여기는 제법 붉어지고있구요.. 살구나무 학명 : Prunus armeniaca var. ansu Maxim 쌍덕잎식물강> 장미목> 장미과> 벚나무속 꽃말 : 처녀의 부끄러움, 의혹 중국이 원산지로 온대지방에 널리 심고있.. (꽃양귀비) 씨앗 떨어져 꽃피운 색색의 꽃양귀비 여기는 작년에도 씨앗 떨어져 저절로 자라 꽃을 피워준 곳인데 올해도 빈약하나마 몇포기 자라서 색색의 얇은 꽃잎을 펼치고 이쁜 꽃을 피워주고 있습니다. 매년 보면 꽃양귀비는 꽃은 이쁜데 키가 커서 쓰러지기 일쑤라 올해는 일부러 씨앗을 뿌리지는 않았습니다. 이곳은 안그래도 여러가지 나무랑 다년초들이 심어져있어 복작복작 하거든요. 이렇게 자연발아해서 이쁜꽃을 몇송이 라도 보여주니 더 이쁜것 같아요. 꽃색이 거의 빨간색 인데 이렇게 분홍꽃도 한번씩 보이고.. 분홍꽃은 꽃술도 노란색 이네요. 제일 강렬한 빨간꽃잎에 검은 꽃술을 가진 꽃양귀비 입니다. 꽃잎은 갓피어나면 꾸깃꾸깃할정도로 얇은 꽃잎 이라 참 이쁘고 매력적입니다. 꽃수명은 길지가 않아서 아쉽습니다. 요건 살짝 주황색에 꽃술도 연하고.. 자연발아한거라 드.. (다알리아) 키가 작은 빨간 폼폰 다알리아 작년겨울 구근을 캐서 서늘한 현관에 보관했던 빨간 폼폰 다알리아를 올봄에 화단에 심어주었습니다. 고구마 같은 구근이 너무 많이 번식한것 같아 3개쯤 떼어 따로 심어두고 나머지 어미구근은 그대로 심었더니 요즘 한창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다알리아는 꽃피우기 시작하면 늦가을 서리내릴때까지도 계속 꽃피우는 기특한 식물 입니다. 우리집 다알리아는 요것 한종류 뿐인데 키가 작고 꽃은 폼폰형인 빨간 다알리아 입니다. 첫꽃망울 입니다. 막 피어나려는 꽃잎이 이뻐보입니다. 요렇게 피었습니다. 계속 꽃망울을 만들고 있고.. 요렇게 키가 작은데도 벌써 꽃망울을 많이 만들었습니다. 다알리아 학명 : Dahlia pinnata Cav.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다알리아속 꽃말 : 화려함, 감사 멕시코 원산의 여러해살.. (벤쿠버제라늄) 잎이 단풍잎 같은 벤쿠버제라늄꽃 겨울을 실내월동한 벤쿠버제라늄이 바깥 데크에 내어놓았더니 햇빛과 바람이 좋은건지 꽃대를 여러개 올리고 꽃을 피워주고 있습니다. 벤쿠버제라늄은 잎이 단풍잎처럼 생겼고 무늬가 있으며 꽃도 일반제라늄 보다 작고 꽃잎이 좁습니다. 잎을 문지르면 나는 향은 일반제라늄과 다를바가 없구요.. 햇빛에 잎의 무늬도 진해지고 요렇게 꽃대를 올리고 꽃망울이 뭉쳐납니다. 하나둘 개화하며 둥그렇게 꽃을 피우네요. 벤쿠버제라늄 학명 : Pelargonium horturum 'Golden Ears' 쌍떡잎식물강> 쥐손이풀목> 쥐손이풀과> 제라늄속 꽃말 : 애정, 우정, 그대가 있어 행복합니다 원산지는 남아프리카 이고 유통명으로 골덴제라늄, 단풍제라늄, 캐나다제라늄 이라고도 부른다. 약20~30cm 정도로 자라고 8~10월(온실에선.. 이전 1 ··· 57 58 59 60 61 62 63 ··· 2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