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키우기

(1033)
(바위솔) 노지월동 하는 와송과 호랑이발톱바위솔 이웃집에서 새끼자구 두서너개씩 떼어와 화분에 모아심어준것인데 초록색 날카롭게 생긴건 호랑이발톱바위솔 이고 회색 맨들하게 생긴건 와송 입니다. 와송도 바위솔의 한종류 라고 하네요. 호랑이발톱바위솔은 주위에 새끼자구를 여러개 달고있네요. 아직 꽃대는 올리지못했습니다. 요렇게 표면이 맨들하게 생긴건 주위의 잎이 말라버리고 눈 인지 새순 인지가 남아있는 와송의 모습 입니다. 꽃대 올린건 말라죽고 잎만 있던것이 잎이 마르고 가운데부분이 요런상태로 겨울을 나나봅니다. 가을에 와송이 꽃대를 올린 모습 입니다. 꽃은 자잘하게 많이 피었는데 별로 이쁘지가 않아 소개를 못드렸습니다. 자구 중에서 작게라도 꽃대를 올린건 다 말라죽고 꽃대 없이 잎만 있던것들이 살아 노지월동을 하네요. 오른쪽 초록색 만손초도 노지월동이 안되어..
(동백나무 천리향 월동준비) 양평에선 노지월동이 안되는 동백나무 천리향 월동준비 노지월동이 안되는 동백나무 이기에 그동안 못키우다가 큰맘 먹고 지난 봄에 한그루 들여서 봄에 동백꽃을 보고 화분에선 한계가 있기에 더 잘커라고 정원에 심어주었었습니다. 비닐로 보온을 해서 노지월동 시키려다가 아무래도 안되지싶어 추위가 오기전에 다시 캐서 화분에 심어 현관에 들였습니다. 벌써 꽃망울이 통통해지고 있었거든요. 비닐로 보온을 해서 바깥에 그대로 두면 천리향처럼 살기야 하겠지만 꽃눈이 얼어 꽃을 볼수없을것 같아서요.. 정원에 심어두었더니 일년새 제법 컸습니다. 요렇게 꽃눈들이 통통해지고 있네요. 봄에 피었던 빨간 겹동백꽃 입니다. 천리향은 2그루 인데 꽃이 흰 백서향 입니다. 고집스레 겨울마다 비닐로 무가온온실을 만들고 노지월동 시켰는데 꽃눈이 얼어 한번도 꽃을 못피웠습니다. 그런대로 살아서 제..
(아프리칸바이올렛)(벤쿠버제라늄) 화원에서 새로이 들인 아프리칸바이올렛과 벤쿠버제라늄 화분식물들을 월동준비로 실내로 옮기고보니 지금 꽃피우고있는 화분식물이 별로 없어서 화원에 갔다가 아프리칸바이올렛과 벤쿠버제라늄을 한포트씩 데려왔습니다. 아프리칸바이올렛은 예전에 서울아파트에서 키워봤던것인데 오랜만에 다시 키워보게 되었습니다. 잎꽂이도 잘되어서 개체수를 많이 늘려도 보았던 아프리칸바이올렛 인데.. 꽃색이 선명한 진홍색꽃을 데려왔습니다. 꽃이 작지만 참 이쁘지요? 아프리칸바이올렛 학명 : Saintpaulia ionantha 쌍떡잎식물강> 통화식물목> 게스네리아과> 사인트파울리아속 꽃말 : 작은 사랑 아프리카에서 처음 발견된 제비꽃(바이올렛) 이기에 아프리칸바이올렛 이란 이름이 붙었다. 크기는 약 7cm, 무게는 약 100g 이다. 털이 나있으며 줄기가 없고 잎자루가 긴 잎들이 뭉쳐난다. 꽃..
이쁘게 물든 정원의 단풍 갑작스런 한파가 찾아온후의 단풍이 그리 이쁘지는 않지만 가을이 깊어가니 정원의 나무들도 이쁘게 물들기 시작했습니다. 축대에 심어둔 영산홍들이 빨갛게 물들었네요. 단풍색이 꽤 이쁜듯.. 너무 어려 올해는 꽃도 못피운 떡갈잎수국이 대신 붉으레 물이 들었습니다. 나무가 어리니 잎도 많이 크지는 않아서 단풍든 잎이 이뻐보이네요. 내년엔 꽃을 피워주면 좋겠는데요.. 블루베리 나무들 입니다. 블루베리는 잎이 이쁘게 단풍이 들지요. 봄에 심어준 블루베리 듀크 입니다. 역시 봄에 심어준 블루베리 M7 입니다. 제일 이쁘게 물들은듯.. 왼쪽의 물이 덜든 블루베리는 프리미어 이고 오른쪽 단풍이 잘든 블루베리는 발드윈 입니다. 삽목둥이 황금조팝도 붉으레 물이 들었구요.. 노각나무는 노래졌다가 갈색이 되어갑니다. 올해는 때이..
(녹보수) 공기정화식물로 많이 키우는 녹보수의 꽃 예전에 한번 키우다 실패했던 녹보수 인데 이웃집에선 아주 잘키워서 일년새 제법 키가 커져있었습니다. 이웃집에 갔다가 월동차 실내로 들어와있는 화분들 구경하느라 보고있으니 녹보수 아래쪽에 허여꾸름한게 보여 가까이서 보았더니놀랍게도 꽃이 딱 한송이 피어있었고.. 생전 처음보는 꽃이라 신기해서 사진으로 담아봤습니다. 한송이 뿐이라 더 어떻게 이쁘게 담을수도 없었지만요.. 검색해보니 저만 처음 본것이지 꽃을 피웠다는 글들을 꽤 볼수가 있었답니다. 딱 한송이 뿐인 연노랑 녹보수꽃 입니다. 제일 아랫쪽에 숨은듯이.. 녹보수 학명 : Radermachera sinca 꽃말 : 대박, 보물, 부귀 능소화과의 상록활엽관목 이며 중국이 원산지 이다. 최대 3m로 자라고 직광보다는 반직광이 좋고 실내관엽식물로 기르기 좋고 ..
(가자니아 새싹) 봄에 심어준 가자니아의 씨앗이 떨어져 자란 새싹 이식 봄에 화단에 2포트 심어준 가자니아가 봄부터 지금까지 꾸준히 빨강, 노랑꽃을 피우고 또 씨앗도 많이 만들어서 주변에 새싹들이 많이 난 상태 입니다. 가자니아는 처음 키워봐서 월동시키는것이 문제인데 제주도에선 노지월동도 되므로 시험삼아 새싹들만 벽쪽의 화단에 이식시켜봤습니다. 벽에서 따뜻한 온기가 나오기때문인지 작년겨울에 글라디올러스 구근도 거뜬히 월동했었거든요. 물론 뽁뽁이로 덮어 보온을 해줬지만요. 그래서 올해는 노지월동이 살짝 어려운 몇몇 식물들을 시험삼아 벽쪽으로 이식시켜놨습니다. 가자니아 새싹들 입니다. 이렇게 태양 같은 빨강, 노랑꽃들을 꾸준히 피워주었지요. 가자니아 학명 : Gazania rigens Gaertn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가자니아속 꽃말 : 수줍음 남아프리카가 원산지로..
(화분식물 월동준비) 때이른 10월의 한파로 서둘러 실내로 피신한 화분식물들 올해는 이상기후인지 10월에 11년만의 한파가 찾아온다고해서 서둘러 화분식물들을 월동시킨다고 실내로 피신시켰습니다. 정원에는 노지월동 되는것들을 심어주고 노지월동이 안되는것들은 화분에서 기르다가 이렇게 영하기온으로 떨어지기전에 실내로 옮겨 월동을 하게해야합니다. 양평집에는 온실이 따로 없기에 환경조건이 안맞더라도 어쩔수없이 많이 따뜻한 거실과 안방에 대부분 두게되고 약간의 추위를 겪어야하는것들은 그나마 기온이 낮고 얼지않는 현관에서 월동을 합니다. 월동준비로 여기저기 적재적소에 자리를 잡아놓고 사진으로 담아봤습니다. 먼저 안방 통창가에 있는 화분들 입니다. 왼쪽부터 인도고무나무, 염자, 오렌지자스민, 익소라, 커피나무, 테이블야자, 공작선인장, 다시 왼쪽으로 목베고니아, 꽃기린, 다육이 3종류 입니다. ..
(백일홍) 꾸준히 계속 꽃피우고있는 백일홍 꽃이 백일동안 핀다고해서 백일홍 이라 불리는 일년초 백일홍이 이름에 걸맞게 꾸준히 꽃망울을 만들고 꾸준히 쉬임없이 색색의 꽃을 피워주고 있습니다. 매년 키워보면 추위가 오고 서리가 내릴때까지도 꽃을 피우다가 추위에 그만 얼어 고사해버리는데 10월에 11년만의 한파가 찾아온다고해서 사진으로 담고 그모습을 올려봅니다. 한파가 오고 아침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면 아무래도 얼어버릴것 같아서요. 올해는 이상기후 인지 비도 너무 자주 내리고 이렇게 10월에 일찍 한파가 찾아오기도하고.. 무슨일인지요.. 우리정원의 백일홍은 키도 크고 꽃도 큼직하고.. 꽃색은 진분홍, 분홍색, 연분홍, 주황색 입니다. 왜 이리 키가 큰지 벌써 내키를 훌쩍 넘어섰습니다. 막 피어나는 모습도 이쁘고.. 왕관을 쓴듯 노란 관상화가 피기시작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