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키우기/정원식물

(759)
(정원) 남보라색 빈카꽃 작년봄에 꽃모종들 들일때 한포트 들여와 심어둔 빈카가 겨울을 잘 보내고 가운데부분에 꽃줄기들을 모아 올리더니 이쁜 남보라색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월동도 잘하고 번식력도 좋다고 하길래 한포트만 들여서 측백나무 생울타리 옆의 화단에 심어두었는데 아마 심어둔 장소가 빈카에게 적절했나봅니다. 작년엔 겨우 두세송이 꽃을 보여줬는데 올해는 가운데서 꽃줄기가 대거 나와서 제법 꽃망울을 많이 맺었습니다. 남보라색꽃이 모양이 살짝 바람개비처럼 돌아가네요. 줄기는 땅위를 기어가며 뿌리를 내려서 번식을 하는데 꽃줄기는 위로 꼿꼿이 서는 성질이 있습니다. 한포트 사서 심은게 일년새 많이 커진것 같구요 내년쯤엔 제법 군락을 이루지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빈카(periwinkle) 학명 : Vinca major 쌍떡잎식물강>용담..
(정원) 축대에 심어둔 꽃잔디의 화려한 반란. 요즘 양평집 축대에 심어둔 꽃잔디가 활짝 피어 화사함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잔디처럼 지면을 기며 번식하고 추위에도 강한 꽃잔디는 지난 겨울을 잘 견디고 봄이 되니 까슬까슬한 초록잎과 함께 꽃대를 바글바글 올리더니 화사한 분홍꽃을 피워올렸습니다. 지면을 기며 번식도 잘하고 꽃이 피면 잔디처럼 화사한 꽃이 땅을 뒤덮어 이름이 꽃잔디가 되었나봅니다. 꽃잔디(지면패랭이꽃 Moss Phlox) 쌍떡잎식물강> 통화식물목> 꽃고비과 미국동부가 원산지이며 주로 4월에 개화한다. 적색, 자홍색, 분홍색, 연한분홍색, 백색 등 꽃색이 다양하다. 꽃이 자그마하지만 플록스처럼 생겨서 영명이 moss phlox인가봐요. 땅위에 잔디처럼 깔아도 화사하지만 축대의 바위를 이렇게 장식해도 아주 멋진 축대정원이 됩니다. 워낙 잡초가 ..
(정원) 달큰한 향을 풍기는 하얀 조팝나무꽃 양평집 펜스화단에 한그루 심어놓은 어린 조팝나무가 달달한 향을 풍기며 하얀꽃들을 팝콘처럼 터뜨렸습니다. 조팝나무는 무리지어 피면 참 환상적인데요 우리 정원엔 아직 한그루 뿐이라 아쉽지만 번식을 잘하니 내년엔 다른곳에도 좀 떼어 심어놓을까 싶네요. 작년봄에 심어놓아서 작년엔 꽃을 보지못했고 올해 처음 꽃피워준거라 요만큼만 피어도 얼마나 이쁜지요.. 아직 크기가 요만하고 포기도 별로 크지않지만 번식력이 좋아 옆으로 계속 새줄기가 나오며 덩치가 커지니 내년은 더 이쁜 모습이 되지않을까요? 며칠전 하얀 꽃망울이 터지며 꽃이 피기시작할때의 모습 입니다. 조팝나무 학명: Spiraea prunifolia for. simliciflora Nakai 영명: Bridal wreath 꽃말: 노련하다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정원) 작년에 묘목을 심은 매실나무에 첫꽃이 피다 - 2017.4.15 양평집에 작년봄에 묘목 몇그루를 심었었는데요 그중 매실나무도 있었습니다. 매실나무묘목은 그야말로 길다란 가지 하나가 줄기로 되어있는게 전부라 할정도로 이상한 묘목 이었지요. 작년엔 꽃은 커녕 잎이나 날까 노심초사하며 늘상 들여다 보았는데 다행히 잎이 나고 가지가 몇개 생겨서 나무꼴이 되었답니다. 올해는 꽃망울이 생길까 하고 또 눈여겨봤더니 봉긋한 눈이 5개가 생겨 잎눈과는 다른 모양이었지요. 그 꽃눈이 드디어 개화를 했습니다. 5개 중에서 4개만 개화를 했네요. 매실나무의 꽃을 매화라 하는데요 수술이 많아 참 예뻐 보입니다. 매화나무(매실나무) 학명: Prunus mume 영명: Japanese Apricot 꽃말: 고결,끝내 꽃을 피우다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장미과> 벚나무속 낙엽교목으로 키는 5m정..
(정원) 보라색 포도송이 같은 무스카리꽃 양평집 정원의 펜스화단에 심어준 무스카리가 가을에 잎이 난채로 겨울을 잘 보내고 앙징맞은 보라색 포도송이 같은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서울집 아파트 베란다에서 삼년을 키우고 양평집에서 이년째 인데요 번식도 꽤나 많이 했습니다. 처음에 깜찍한 보라색꽃을 보고 뿅가서 키우기 시작했는데 여전히 무스카리꽃을 보면 마음이 설레입니다. 무스카리.. 이름도 이쁘지요? 양평의 추위도 거뜬하게 이겨내니 신경쓸것도 없는 구근식물 입니다. 스스로 번식도 잘하구요. 얼마전에 보라색 히아신스가 피었는데 뒤이어 보라색 무스카리도 꽃피워주니 봄이 성큼 다가온 느낌 입니다. 아랫쪽 꽃은 개화를 한건데 종모양이고 아래에 하얀 프릴을 단듯 합니다. 무스카리 학명: Muscari armeniacum 영명: Grape-hyacinth 꽃말..
(정원) 데크화단의 겹튤립꽃과 홑튤립꽃 얼마전에 수선화랑 같이 구매해서 데크화단에 심어줬던 튤립이 이제야 개화를 시작했습니다. 분홍겹튤립이라해서 비싸게 2포트를 샀었는데 분홍꽃이 아니고 노란꽃이었네요. 살짝 붉은기가 좀 들어가긴 했지만 분홍이 아니어서 아쉬웠습니다. 화원에 다른 꽃모종을 사러가서 항의도 해봤지만 다음에 잘 챙겨주겠다는 화원주인의 말씀.. 튤립은 벌써 완판이 됐더라구요. 홑꽃이 아니고 겹이라 이쁠텐데 색상이 안받쳐주네요. 홑꽃은 좀 싸게 들였는데 빨강이라 화사해보입니다. 이건 만족입니다. 원래 튤립의 꽃모양 이지요. 홑꽃 3포기인데 한포기는 꽃잎바깥의 색이 멋지네요. 안은 그냥 빨강인데요. 노란 겹튤립이 옆에서 본 꽃모양은 몽실몽실 이쁩니다. 살짜기 들어간 분홍빛도 그런대로 괜찮네요. 요렇게 다섯포기인데요 벌써 아랫쪽에 자구로 ..
(정원) 현관 옆 화단에 심어준 돌단풍꽃 현관옆 화단에 두포기 심어준 돌단풍도 겨울을 잘 넘기고 이제 꽃대를 올리고 꽃을 피워주고 있습니다. 작년봄에 정원에 나무들과 꽃식물들 모종을 살때 돌단풍도 2포트 구매해서 현관옆 화단에 심어준것인데 양평의 추위도 거뜬히 이겨낼 정도로 추위에 강하네요. 옆에 같이 심어주었던 설화(시베리아바위취)는 고사해버린터라 이렇게 꽃을 피워주니 얼마나 반가운지요. 설화는 아파트베란다에서 키운거라 추위에 적응하기는 힘들었겠지요. 멀리서 대구에서 보내준거라 잘 키우지못해서 많이 미안하기도 했습니다. 아래는 돌단풍꽃이 막 개화하기 시작할때 찍었습니다. 반가운 맘에요.. 돌단풍꽃이 참 특이하기도 하고 이쁘기도 합니다. 아랫쪽에는 단풍잎같이 생긴 잎도 나오기 시작했구요. 꽃을 가만 들여다보면 작지만 참 귀엽습니다. 작은 별꽃 ..
(정원) 펜스화단의 보라색 히아신스꽃 - 히아신스 키우는법 양평집 정원의 펜스화단에 심어둔 히아신스가 올해도 보라색꽃을 피워주었습니다. 서울 아파트에서 5년전에 구근 하나를 구입해서 화분에서 키우다가 재작년 가을에 양평집으로 이사와서 정원에 심어준것 입니다. 히아신스는 꽃색이 보라색, 흰색, 분홍색 등 여러색이 있는데 구근 하나만 샀고 그중에서 보라색으로 골랐기 때문에 우리집의 히아신스는 보라색 뿐입니다. 히아신스는 해가 갈수록 꽃이 퇴화하는 대표적인 구근식물인데요 종자개발회사에서 품종개발하면서 그렇게 만들어놓았다고 하더라구요. 그런 히아신스가 4년간 자구를 많이 늘리지는 못해도 퇴화해서 없어지지않고 이렇게 해마다 꽃을 피워주는것만해도 대견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4년간 겨우 3포기로 늘어난 히아신스지만 그중 하나는 기특하게도 꽃송이를 그런대로 달고 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