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머위

(8)
(머윗대들깨볶음) 굵게 자란 머윗대로 들깨가루 넣어 볶은 머윗대 들깨볶음 머위는 여러 좋은 효능이 많아 봄에는 잎을 데쳐 쌈으로 먹고 요즘은 굵게 자란 머윗대로 나물을 해서 먹으면 쌉쌀한 맛으로 입맛도 돋워주고 소화기능도 강화해주는 좋은 식품 입니다. 이웃집의 머윗대가 많이 굵어져 조금 수확해와서 들깨가루 넣어 볶아봤습니다. 예전엔 들깨가루를 싫어해서 잘먹지않았는데 나이드니 들깨 들어간 나물들이 좋아지게 되었네요. 들깨가루 듬뿍 넣은 머윗대들깨볶음 입니다. 재료 : 머윗대, 소금1큰술, 참기름(들기름), 국간장4큰술, 매실청1큰술, 다진마늘1큰술, 물1컵, 들깨가루3큰술, 통깨 머윗대를 요만큼 잘라왔습니다. 소금1큰술 넣은 끓는물에 10분쯤 삶아줍니다. 찬물에 담가 잠시 쓴맛을 빼줍니다. 껍질을 벗겨주고 반으로 가르고 길이도 길면 알맞게 잘라줍니다. 과도로 껍질을 벗겨주면 편..
(봄나물) 정원의 어린 머위, 신선초, 벌개미취순으로 데쳐서 무쳐본 봄나물 봄이 언제 오나 했더니 어느새 여기저기서 새순이 올라오네요. 많이 번진 머위 어린잎과 신선초 어린잎을 수확하고 화단정리 하면서 캐낸 벌개미취순을 아까워서 같이 데쳐 나물로 무쳐봤습니다. 머위잎이 제일 많고 신선초, 벌개미취는 얼마안되기에 같이 무치기로 했는데 맛이 향긋하니 괜찮아서 봄나물 먹는 느낌 이었습니다. 재료 : 머위잎 신선초잎 벌개미취순 한줌, 소금1작은술, 국간장2큰술, 깨소금, 참기름 어린 머위잎 입니다. 식초 떨어뜨린 물에 깨끗이 씻어둡니다. 신선초잎과 벌개미취순 입니다. 냄비에 물이 끓으면 소금1작은술을 넣고 머위, 신선초, 벌개미취를 넣고 데쳐냅니다. 연해서 잠시만 데치면 됩니다. 머위의 쓴맛을 빼려고 찬물에 잠시 담궈두었습니다. 물기를 꼭짜서 먹기좋게 썰어 스텐볼에 담고 국간장2큰술,..
(머위나물) 정원의 머위 따서 무쳐본 쌉싸레한 머위나물무침 요즘 정원의 머위밭이 머위가 꽤 자랐습니다. 데쳐서 머위쌈은 두세번 먹었는데 이번엔 나물로도 무쳐먹자 싶어서 해보니 쌉싸레한 맛이 입맛을 돋워주네요. 요즘같은 봄철에 몇번 먹을수있는 머위쌈, 머위나물무침 이지요. 재료 : 머위, 소금1작은술, 마늘1/2큰술, 고추장1작은술, 쌈장(된장)1/2큰술, 국간장1큰술, 매실청1큰술, 참기름1큰술, 통깨 따온 머위를 식초를 떨어뜨린물에 깨끗이 씻어주었습니다. 머위를 끓는물에 소금1작은술을 넣고 데쳐줍니다. 2~3분간 데쳐주었습니다. 쓴맛이 좀 빠지게 찬물에 잠시 담가둡니다. 물기를 꼭짜주고 먹기좋게 썰어줍니다. 스텐볼에 담고 국간장, 쌈장, 고추장, 다진마늘, 참기름, 통깨를 뿌리고 조물조물 무쳐줍니다. 그릇에 담아 식탁으로.. 쌉싸레한 머위나물무침이 입맛을 돌게..
(쌈채소) 정원에서 조달한 명이나물, 머위, 눈개승마 양평집 정원에 명이나물, 눈개승마, 머위가 심겨져있는데요 머위는 이웃집에서도 구할수있어 일찌감치부터 맛을 보았는데 눈개승마는 한포기만 살았고 명이나물은 세불리기가 어려워 이제껏 맛을 보지못하다가 이번에 처음으로 조금씩 수확해봤습니다. 명이나물은 포기당 1장씩만 수확하였고 눈개승마는 제일 크게 자란 4줄기를 수확했습니다. 머위와 눈개승마는 데쳐서 명이나물과 함께 식탁에 올렸습니다. 식초 떨어뜨린물에 20분정도 담궈놓았다가 깨끗이 씻은 머위, 명이나물, 눈개승마 입니다. 머위 입니다. 데쳐서 쌈으로 먹으면 쌉싸래한 맛이 입맛을 돋워줍니다. 처음으로 수확해본 눈개승마 입니다. 울릉도 특산식물로 3가지맛이 난다고해서 삼나물이라 한다네요. 처음으로 수확해본 명이나물 입니다. 잎이 포기당 2~4개밖에 안되기에 많이..
(머윗대들깨나물) 크게 자란 머윗대를 잘라 만들어본 머윗대들깨나물 양평집 정원 한켠 그늘지고 습한곳에 심어준 머위가 지금은 크게 자라 굵은 머윗대를 일부 수확해 머윗대들깨나물을 만들어봤습니다. 봄에는 어린 머위잎으로 쌈을 싸먹거나 나물을 만들어먹었는데 요즘은 머윗대나물을 먹을수있는 시기 입니다. 굵은 머윗대지만 연하고 아삭하고 들깨가루를 넣어 고소하기도 하네요. 요즘 먹을수있는 제철음식 이지요. 재료 : 머윗대, 양파1/2개, 청 홍고추 1개씩, 멸치다시마육수, 마늘1/2큰술, 들기름, 들깨가루2큰술, 소금1작은술, 국간장3큰술 잘라온 머윗대를 칼로 껍질을 벗기고 길이로 2등분이나 4등분 하여 씻어줍니다. 멸치다시마육수를 끓입니다. 물보다는 육수를 쓰는게 더 나은것 같습니다. 끓는물에 소금1작은술을 넣고 손질한 머윗대를 넣어 10분정도 삶아줍니다. 삶은 머윗대를 찬물에..
(이웃집정원) 머위꽃 양평집 뒤곁엔 2년전에 머위도 심어주었는데요 많이 번식하라고 아직 따먹지도 못하고 있습니다. 봄이 되니 하나둘 땅속에서 새잎을 내밀고 있는데 옆집을 가보니 놀랍게도 머위꽃이 몇송이 피고 있네요. 우리집보다 머위가 자라는 환경이 더 좋은가봅니다. 얼른 핸폰으로 담아주었습니다. 머위 쌍떡잎식물강>국화목> 국화과> 머위속 학명 : Petasites japonicus 꽃말 : 공평 여러해살이풀로 한국과 일본 등 아시아가 원산지 이다. 산지와 길가 습지에서 자라고 크기는 5~45cm 이다. 물기가 많은 곳에서 땅속줄기가 옆으로 뻗으면서 자란다. 잎은 신장모양으로 땅속줄기에서 바로 나오며 잎가장자리는 고르지않은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60cm까지 자란다. 꽃은 흰색이며 이른봄에 비늘처럼 생긴 포에 둘러싸인 꽃대 위..
(반찬) 텃밭 머위대로 들깨 갈은 물 없이 만들어본 머윗대나물 양평집 텃밭에는 머위가 아직 어려 따먹지는 못하고 번식만 시키고 있는데요 이웃집에서 잘자란 머위대를 베어 주었습니다. 머위는 쓴맛이 나서 호불호가 있는데요 몸에 좋은 쓴맛이라.. 잎에 쓴맛이 많고 줄기에는 쓴맛이 적어 주로 머윗대나물로 드시더라구요. 우리집은 입맛돌게하는 쓴맛을 좋아해서 봄철에 몇번 머위잎쌈을 즐기는데요 머윗대나물은 이번에 처음으로 해봤습니다. 보통 머윗대나물에 들깨를 갈아 넣는데 우리집은 들깨 들어간 음식을 좋아하지 않아서.. 그래서 이번에 머윗대나물도 들깨 갈은 물을 넣지않고 나물로 조렸는데 아삭하니 맛이 좋았습니다. 재료 : 머윗대, 홍고추2개, 양파1/2개, 마늘2톨, 국간장4큰술, 물1/2컵, 카놀라유, 참기름, 통깨 먼저 머윗대를 고구마줄기 껍질 벗기듯 껍질을 벗겨줍니다. 손에..
(쌈) 봄철 입맛 돌아오게 하는 향긋한 제철음식 텃밭 머위쌈 따뜻한 봄날이 지속되자 정원 두어군데 심어놓은 머위도 잎들을 내고 있습니다. 아직 양평집의 머위는 번식이 덜되어 따서 나물이나 쌈을 해먹을 정도는 아닌지라 이웃집의 머위밭에서 좀 얻어왔습니다. 머위는 요즘이 여리고 향긋하고 쓴맛이 덜해 쌈으로 나물로 먹기좋은 철입니다. 저는 특히 머위쌈을 좋아해서 봄철에 서너번은 머위쌈을 먹어야 봄을 제대로 넘긴것 같네요. 머위의 효능은 호흡기, 소화기, 비뇨기에 좋은 성분이 있다고 하는데요 항암효과도 있고 항산화효과도 있다고 합니다. 저절로 내몸에서 필요로 해서 머위쌈을 좋아하는건 아닌지 모르겠네요. 머위쌈은 특별히 어려울것도 없고 요리라고 할것도 없는데요 텃밭 머위를 따와서 식초 한두방울 넣은 물에 잠시 담가두었다가 서너번 깨끗이 씻어둡니다. 텃밭에서 바로 따와서 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