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키우기/정원식물

(746)
(원추리) 정원의 2종류 원추리꽃 정원에 2종류의 원추리가 있는데 화려한 왕원추리가 먼저 피었고 노란꽃 원추리는 뒤따라 몇송이 피기시작했습니다. 왕원추리가 먼저 피었기에 사진을 많이 찍어두었습니다. 왕원추리는 번식력도 좋아 정원 여기저기에 자리잡았는데 노란 원추리는 한군데서 포기만 커지고 있네요. 왕원추리 입니다. 꽃줄기가 너무 키가 큽니다. 꽃줄기 끝에 꽃망울이 여러개 달려 매일 한송이씩 피었다가 지고 다음날은 또다른 꽃망울이 개화합니다. 단아한 색의 노란 원추리 입니다. 이제 피기시작해서 꽃사진이 별로 없네요. 얘도 매일 한송이씩 피었다가 지고 다음날은 또 다른 꽃이 핍니다. 원추리 학명 : Hemerocallis fulva (L.) L. 외떡잎식물강> 아스파라거스목> 원추리과> 원추리속 꽃말 : 지성 다년생초로 아시아에 분포한다. ..
(피자두 수확) 자엽자두나무의 겉과 속이 빨간 피자두 묘목을 심은지 몇년만에 올해 처음으로 피자두를 수확할수있었습니다. 작년엔 처음으로 꽃이 몇송이 피었지만 열매는 열리지않았고 올해는 꽃이 대거 피었지만 아직 나무가 어려서인지 자잘한 열매들은 커지기전에 거의 떨어져버렸고.. 몇알 남은 열매들은 다행히 크기도 커지고 빨갛게 익어가고 있습니다. 열매가 좀 익었나 만져보며 말랑해질때를 기다리고 있는데요.. 봄에 핀 피자두꽃은 살짝 연분홍색 입니다. 유실수꽃들은 구별하기가 참 어렵지요? 꽃만 봐도 참 이쁜데 열매까지 열리니 정원에 유실수는 종류별로 몇그루 심어야 될것같아요. 자엽자두나무는 꽃이 연분홍으로 먼저 피고 뒤따라 붉으레한 잎이 나옵니다. 자엽자두나무 학명 : Prunus cerasifera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장미과> 벚나무속 케라시페라자두나무, 자엽..
(에키네시아) 여름꽃 다운 화사한 분홍 에키네시아 정원에 한창 여름꽃들이 피고있는데 분홍 에키네시아와 노란 루드베키아가 대표적 입니다. 올해는 분홍 에키네시아가 먼저 피기시작했고 거의 만개할때까지 수시로 담아주어서 사진량이 좀 많네요. 집부근에 넓은 양배추밭이 생겨서 갑자기 배추흰나비가 많아졌는데 나풀거리며 날아다니는 나비들이 이쁘기도 하지만 텃밭의 배추랑 양배추에 알을 낳을까 걱정도 되고.. 덕분에 나비사진은 많이 찍었습니다. 다년초인 에키네시아가 포기가 큰곳이 2곳이 있는데 이곳이 첫번째 입니다. 첫꽃이 피어날때 입니다. 에키네시아 학명 : Echinacea purpurea (L) Moench 국화과> 자주천인국속 꽃말 : 영원한 행복 다년초 이고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키는 60~70cm 이다. 잎은 마주나고 잎자루가 없으며 끝이 뾰족하고 밑은 심장형..
(베르가못) 향이 좋은 빨강 분홍 베르가못꽃 향이 좋은 허브식물인 베르가못이 요즘 한창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올해는 정원의 꽃들 상태가 안좋은것이 많은데 다행히 베르가못은 2군데 빨강꽃과 분홍꽃을 잘 피워주고 있네요. 아래는 펜스쪽 화단에 피고있는 빨강 베르가못 입니다. 안젤라장미가 있는곳인데 안젤라장미가 잠시 쉬는 사이에 베르가못이 꽃을 활짝피워주고 있답니다. 베르가못은 모나르다 라고도 불리는 허브식물 인데 다년초라 겨울에는 지상부는 다 말라죽습니다. 그래서 봄에 새싹이 나올때까지 그리 비좁아보이지는 않는데요 일단 새싹이 나서 자라고 꽃을 피우니 많이 복작복작해졌습니다. 아메리카가 원산지라 꽃이 특이하고 정열적으로 보이지요? 여름꽃 답습니다. 꿀풀과의 꽃특징이 보이는듯하고.. 꽃색이 빨강 분홍 흰색이 있는데 우리정원에는 빨강과 분홍만 심어주었고..
(산수국) 작년 보다 꽃을 덜피운 산수국 추운지역에서도 노지월동 잘하는 산수국이 요즘 한창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다만 작년보다는 풍성하지가 못하고 빈약할정도로 아쉬운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원인이 뭔지는 모르지만 올해는 정원의 꽃들이 꽃도 제대로 못피우고 자람도 시원찮고 고생을 하고 있는데 풍성하게는 아니라도 이렇게 꽃을 피워주니 고마워해야할런지.. 산수국은 가운데 작은꽃이 유성화 이고 가장자리의 큰꽃이 무성화 입니다. 요렇게 꽃망울을 맺기시작했을때만해도 기대를 하였는데.. 지금보니 벌써 잎상태가 나빠지고있었네요. 산수국 학명 : Hydragea seratta (Thunb.) Ser. 'Acuminata' 장미목> 범의귀과> 수국속 꽃말 : 변하기쉬운 마음 낙엽관목으로 높이 1m정도 이고 한국 일본 타이완의 산골짜기나 자갈밭에서 자란다. 잎은..
(끈끈이대나물) 이름과는 다르게 화사한 끈끈이대나물꽃 몇년전 이웃에서 두어포기 얻어다심어준 끈끈이대나물이 씨앗이 떨어져 해마다 화사한 분홍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작년까지는 꽤 군락을 이루었는데 올해는 정원의 꽃들이 수난 이라 끈끈이대나물도 피해가지 못했네요. 여기 한군데 조금 꽃을 피웠고 다른곳에도 한두포기정도 꽃을 피웠네요. 끈끈이대나물 이란 이름은 화사한 꽃 아래의 줄기에 끈끈한 점액을 분비하는곳이 있어 그리 부른답니다. 일년초 인데 매년 씨앗이 떨어져 이리 화사하게 꽃피우니 참 기특한 식물 입니다. 끈끈이대나물 학명 : Silene armeria L. 중심자목> 석죽과> 끈끈이장구채속(장구채속) 한해 또는 두해살이풀로 유럽이 원산지인 귀화식물 이다. 줄기는 높이 50cm 이고 전체에 분백색이 돌고 털이 없고 줄기 윗부분의 마디 밑에서 점액을 분비한다...
(블루베리 수확) 정원의 블루베리나무들 중에서 조생종 블루베리 수확 정원에 블루베리나무가 4그루 있습니다. 그중 2그루는 서울 살때 아파트에서 기르던걸 심어주었는데 알고보니 추운곳에서 잘자라는 북부하이부시가 아니었고 거기다 만생종 이었습니다. 다행히 바람을 좀 가려주는 따뜻한 곳에 심어주어서인지 얼어죽지는 않았구요.. 만생종 이다보니 너무늦게 수확해서 재작년에 조생종으로 묘목 2그루를 심어주었는데 요즘 그중 한그루가 열매가 먼저 익어서 수시로 수확해서 요거트에 넣어먹고있답니다. 아래사진의 조생종 블루베리(M7) 입니다. 봄에 블루베리꽃들이 피어 담아주었습니다. 조생종 블루베리나무(듀크) 입니다. 심은지 3년차가 되니 꽃을 많이 피워주네요. 조생종 블루베리나무(M7) 입니다. 듀크 보다 꽃수가 적습니다. 몇년 키운 만생종 블루베리나무(발드윈) 입니다. 래빗아이 계열 이었네..
(섬초롱꽃) 보라반점이 있는 종모양의 섬초롱꽃 요즘 정원에 흰종모양에 보라반점이 있는 흰섬초롱꽃이 한창 꽃피우고 있습니다. 섬초롱꽃은 내한성이 강하고 번식력이 좋아 몇군데 이식해주었더니 뿌리 잘내리고 꽃을 피워주고 있네요. 아래는 원래 처음부터 심어둔곳이라 제일 많이 피어있는곳 입니다. 비가 오니 무거워서 축축 늘어져 꽃대마다 지지대를 해주었습니다. 올해는 비가 자주 오지않아서인지 보라반점이 좀더 짙어진것 같습니다. 섬초롱꽃 학명 : Campanula takesimana Nakai 쌍떡잎식물강> 국화목> 초롱꽃과> 초롱꽃속 꽃말 : 충실, 정의, 열성에의 감복 다년생풀로 울릉도에 자생하는 한국특산종 이다. 근경 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원줄기는 가지가 갈라지고 능선이있다. 잎은 근생엽은 모여나고 경생엽은 어긋나며 난상심장형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