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웃집에서 두세포기 얻어와 심어준지 3년차 인데요 해마다 별다른 관리 없이도 씨앗 떨어져 저절로 나서 정원을 화사하게 해주는 끈끈이 대나물꽃 입니다. 줄기에 끈끈한 점액을 분비해 끈적함이 느껴지는데 아마 벌레를 잡는것 같습니다. 이름과는 달리 꽃색은 얼마나 화려한지.. 씨가 날아 정원 여기저기에 꽃을 피우고 있는데 일찍 꽃피운것도 있고 아직도 뒤늦게 꽃피우고있는것도 있습니다. 꽃이 다발로 모여 피기에 낱낱의 꽃은 작아도 전체적으로 참 화사합니다. 이곳이 제일 많이 나서 제일 화사한것 같구요.. 일찍 핀 꽃이 지면 지저분하므로 그때그때 제거해줍니다. 끈끈이대나물 학명 : Silene armeria L. 중심자목> 석죽과 > 끈끈이장구채속(장구채속) 한해 또는 두해살이풀로 유럽이 원산지인 귀화식물 이다. 줄..
양평집 정원에 키 큰 일년초 노인장대가 한포기 자라 가지끝에 높다랗게 분홍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작년에 이웃집에서 한포기 얻어와 심었더니 씨앗이 떨어져서 이렇게 한포기가 자라났네요. 일년초지만 나무같이 자라 사람키를 훌쩍 뛰어넘을정도로 자라서 꽃을 사진으로 담아주기가 어렵네요. 꽃이 여뀌꽃 처럼 생겼다싶더니 달리 털여뀌, 붉은털여뀌 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털여뀌 학명 : Polygonum orientale L. 현화식물문> 목련강> 마디풀목> 마디풀과> 마디풀속 노인장대, 말여뀌, 붉은털여뀌 라고도 한다. 아시아, 유럽, 오스트레일리아, 북아메리카에 서식하고 우리나라 전국에 분포한다. 크기 150~200cm이고 줄기는 곧추서고 가지가 갈라지며 거친 털이 많다. 잎은 어긋나며 난형, 넓은 난형이며 거친 털..
양평집 정원에 수레국화가 피기시작했습니다. 며칠전부터 하나 둘 피기시작해서 아직 반도 채 피지않았습니다. 다 피면 훨 이쁘겠지만 막 피어났을때가 제일 이쁘기에.. 이쁜 모습으로 소개드리고자.. 우리정원의 수레국화는 푸른색 한가지 뿐이지만 푸른색이 제일 이쁜듯 하네요. 이웃집 정원에서 드물게 분홍색도 본적이 있거든요. 수레국화는 일이년초라 작년의 씨앗이 떨어져 저절로 싹이 나서 자라 이렇게 이쁜꽃을 보여준답니다. 막 피어난 모습도 이쁘고 꽃망울에서 삐죽 푸른 꽃잎을 낸 모습도 이쁘구요.. 화살깃 같은 꽃잎이 빙 둘러 꽂혀있는 모양이라 시차국, 수레국화라 부른답니다. 푸른색으로 피어나서 점차 허여꾸름하게 변합니다. 수레국화 학명: Centaurea cyanus L.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수레국화..
양평집 정원에 요즘 가을꽃 하양 분홍 코스모스가 한창 절정으로 피고 있습니다. 우리정원엔 코스모스 종류가 하양 분홍 2종류 밖에 없지만 동네 길가엔 진홍색 코스모스도 눈에 띄어서 씨앗을 채취해올까도 싶은데요.. 코스모스는 워낙에 저절로 씨앗이 떨어져 나오는 번식력이 엄청나서 처음엔 캐다가 심었지만 그다음해부터는 우후죽순으로 돋아나는 싹들을 뽑아내느라.. 그렇게 뽑아내고도 살아남은것들이 자라서 요즘 이쁘게 꽃을 보여주고 있네요. 막 피어나는 분홍코스모스가 참 이쁘지요? 코스모스 학명 : Cosmos bipinnatus Cav. 꽃말 : 순정, 애정, 조화 국화목> 국화과 >코스모스속 멕시코가 원산지인 한해살이풀이다. 한국 고유어로는 살사리꽃이라 부른다. 키는 1.5~2m에 이르고 줄기는 곧게 서며 털없이 ..
양평집 정원이 4년차가 되니 예전에 심어줬던 꽃식물의 씨앗이 떨어져 저절로 군락이 형성되기도 하는데 메리골드와 봉숭아가 그렇습니다. 봉숭아는 봉선화라고도 하는데요 다른 꽃식물보다 늦게 씨앗이 발아하는탓에 미리 자리잡은 다른 꽃식물 사이에서 나서 뒤늦게 자라지만 이렇게 튼실해져서 원래 봉숭아꽃밭 같이 되어버렸네요. 봉숭아꽃도 흰색, 분홍색, 진홍색, 살짝 주황색이 보이는것 등 여러색 입니다. 봉선화 학명: Impatiens balsamina L. 영명: Garden Balsam 꽃말: 신경질, 경멸,나를 건드리지마세요 쌍떡잎식물강> 무환자나무목> 봉선화과> 봉선화속 1년초로 봉숭아라고도 함. 키는 60cm정도이며 잎은 피침형으로 어긋나고 가장자리에 잔톱니들이 있다. 꽃은 7~8월에 잎겨드랑이에 1~3송이씩..
레몬을 즙을 내거나 청을 만들려고 자르면 씨앗이 꽤 많이 들어있습니다. 호기심에 레몬씨앗을 발아시켜보려고 한번씩 시도를 해보았는데요 레몬씨앗은 생각보다 발아가 잘되는 편입니다. 아직 레몬꽃이 피거나 레몬이 열리기까지 키워보진 못했는데요 그 이유는 어느정도 키운뒤에 서울아파트에서 양평집으로 이사를 해야해서 짐을 줄이느라 화분들을 정리했기 때문입니다. 양평에서의 생활이 어느정도 익숙해지자 다시 레몬씨앗발아를 시도해봤습니다. 여러개 발아가 성공되었는데 또 여기저기 지인들에게 나눔하고.. 지금은 2년차 레몬나무1그루와 1년차 레몬나무2그루와 1년차 오렌지나무2그루가 있습니다. 양평집에선 노지월동이 안되는지라 화분에서 키우는데요 실내로 들여오자 따뜻한 기운에 새잎도 내고 잎이 커지고 있습니다. 레몬잎은 손으로 살..
서울아파트에서부터 씨앗발아시켜 키워온지 5년차인 아보카도나무가 한그루 있는데요 우리나라에선 실내월동해야해서 요즘 안방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아보카도 씨앗발아는 먹고난 씨앗을 반쯤 화분의 흙에 묻어놓으면 이삼개월은 지나야 발아를 하니 잊어버렸다하고 기다려야 된답니다 아보카도씨앗을 재미로 여러개 씨앗발아를 시켜 지인들에게 분양도 했고 우리집에는 한그루만 남겨서 키우고 있었는데요 워낙 아보카도나무가 키큰 나무라 줄기를 반쯤 잘라주었더니 이렇게 위쪽과 아랫쪽에 새가지들이 나왔습니다. 아보카도나무는 몇그루가 있어야 열매가 열리고 또 많이 자라야 열매를 맺기에 이런 씨앗발아한 아보카도나무는 열매를 맺기는 어렵겠지만.. 재미로 씨앗발아 시키고 키워보는것이지요. 연녹색잎이 귀여운 감도 있습니다. 오래된 줄기는 밤색으로..
봄에 지인이 씨앗을 발아시킨 모종을 몇개 줘서 정원 한구석에 심었는데요 심은곳이 측백나무생울타리 그늘진 곳이기도 하고 꽃모종이 좀 부실한것을 심기도한 때문인지 심은 모종 중에서 반정도가 살아남은것이 좀 약하기도 해서 늦게서야 요즘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줄기도 꽃크기도 다른 해바라기보다 여려보이지만 노란 해바라기꽃이 이쁘긴 합니다. 그나마 키가 큰것도 있고, 아직 키가 작은것이 작은 꽃을 피우기도 하네요. 해바라기 학명 : Helianthus aunuus L. 쌍떡잎식물강> 국화목> 국화과> 해바라기속 중앙아메리카가 원산지인 일년초 이다. 키는 2~3m에 달하며 줄기는 곧게 서고 전체에 가늘고 억센 털이 있다. 잎은 난형이며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다. 꽃은 8~9월경 한방향을 향해 두상꽃차례를 이루는데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