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키우기 (1033) 썸네일형 리스트형 (왕꽃기린) 실내월동 중에 한가득 꽃피운 왕꽃기린 자잘한 꽃을 피우는 꽃기린 보다 꽃도 잎도 훨 큰 왕꽃기린이 바깥에서 잘 자라 월동을 위해 들어온 실내에서도 요즘 연분홍꽃들을 한가득 피우고 있습니다. 꽃기린은 환경조건만 맞으면 연중 꽃을 피워주는 기특한 식물 인데 바깥에서 영양상태가 좋아져서인지 가지도 많이 나고 가지끝마다 꽃망울을 만들고 꽃을 한가득 피워주고 있답니다. 거실창가가 알맞는 환경 인가봅니다. 다만 창을 통해 들어오는 햇빛이 약해서인지 진분홍색 이던 꽃이 연분홍색이 되었습니다. 바깥 데크에 있을때는 이렇게 진분홍 이었거든요. 실내환경에 적응하자 꽃망울이 펼쳐지고 첫 꽃볼이 생겼습니다. 꽃기린 학명 : Euphorbia milii var. splendens 쌍떡잎식물강> 쥐손이풀목> 대극과 꽃말 : 고난의 깊이를 간직하다 christ tho.. (부겐베리아) 실내월동 중에 큼직한 꽃볼로 핀 부겐베리아 묵은둥이 부겐베리아가 큼직한 분홍 꽃볼을 만들고 있습니다. 바깥데크에서 꽃망울을 만들기 시작한후 실내로 들였기에 따뜻한 거실환경에 적응하여 꽃망울을 차례차례 꽃피워서 큼직한 꽃볼을 만들었네요. 실내가 좁은 관계로 화분들을 가지를 전지한후 실내로 들였기에 이쁜 분홍꽃볼은 하나밖에 없습니다. 븐홍포엽 사이에 작은 하얀꽃이 진짜꽃 입니다. 꽃볼이 하나밖에 없지만 충분히 매력적 이네요. 실내로 들였을때 꽃망울이 생기고있었기에 이 가지는 전지를 하지않았습니다. 차차 꽃망울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부겐베리아(부겐빌레아) 학명 : Bougainvillea glabra 꽃말 : 정열 쌍떡잎식물강> 이판화군> 중심자목> 분꽃과 덩굴성관목으로 남아메리카가 원산지 이고 우리나라에선 온실재배 해야한다. 포의 색은 자주, 흰색.. (꽃기린) 꽃을 한가득 피우고있는 묵은둥이 꽃기린 오래 키워온 묵은둥이 꽃기린이 연중 꽃을 피워주지만 지금의 자리가 최적지 인지 요즘 꽃을 한가득 피워주고 있어 소개드립니다. 이 꽃기린은 꽃이 자잘한 꽃기린 인데 지인이 가져다준 꽃이 큰 왕꽃기린도 실내환경에 적응이 잘되었는지 큰꽃을 계속 피워주고 있긴 합니다. 이 꽃기린은 꽃크기가 자잘하지만 연중 꽃을 피워주는게 참 기특하고 이쁘고 신기하기도 합니다. 이렇게나 연중 꽃을 피워주는 식물은 흔치않거든요. 크기가 작은 꽃 인데 게다가 꽃잎 같은건 꽃이 아니고 포엽 입니다. 진짜꽃은 가운데 있는데 아주 작습니다. 오래 키우는동안 잘라서 옆에 삽목하고 한것이 이렇게나 불어났습니다. 가지끝마다 꽃을 피워주어서 아주 풍성해졌습니다.. 꽃기린은 가시도 있고 얼핏 선인장 같아 물을 싫어할것 같지만 물을 좋아하는편 입니.. (일일초) 실내월동 중에 꽃피우고있는 일일초 일일초는 일년초 인줄 알고있지만 원산지에선 다년초라 실내월동 시키면 다년초로 키울수있습니다. 몇년 묵은둥이 인 일일초가 월동하러 실내에 들어와서도 꾸준히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실내는 햇빛이 약해 바깥에서만큼 꽃을 많이 피워주지는 않지만 꽃 귀한 겨울철에 몇송이 꽃 이라도 꾸준히 피워주니 얼마나 이쁜지요.. 실내라 꽃색도 연하고 꽃송이도 많지않지만 실내환경에 적응하자말자 꽃망울을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막 피어나기 시작하는 모습 입니다. 일일초 학명 : Vinca rosea 쌍떡잎식물강> 용담목> 협죽도과 꽃말 : 즐거운 추억 원산지는 마다가스카르, 자바, 인도 이다. 우리나라에선 일년초 이고 원산지에선 연중 개화하는 다년생 반목본성 식물 이다. 높이 30~60cm 이고 가지가 많이 갈라져 넓게 퍼져자란다.. (크리스마스선인장) 크리스마스 즈음에 꽃피우는 게발선인장꽃 게발선인장 종류가 몇종류 되는데 우리집엔 2종류가 있습니다. 겨울에 실내월동을 해야해서 화분수 줄이느라 한화분에 합식해두었는데 게발선인장이 단일식물 이라 저녁엔 어두워야해서 안방에 두었더니 꽃망울이 맺히기시작해서 일찌감치 꽃을 피웠습니다. 꽃감상하려고 거실로 데려왔습니다. 크리스마스선인장은 크리스마스 즈음에 꽃을 피우는 게발선인장종류로 꽃이 피면 꽃잎이 한방향으로 뒤로 젓혀지며 빨간색으로 핍니다. 잎줄기에 비해 꽃이 큰편이고 선인장꽃이 그렇듯 화려합니다. 꽃망울이 맺혀서 막 피기직전 입니다. 그동안 많이 자랐는데 부활절선인장과 같이 합식해두어서 복작복작 합니다. 부활절선인장은 아직 이어서 꽃수는 많지않네요. 선인장꽃은 꽃잎이 그라데이션 되어서 윤기나는 모양 입니다. 크리스마스선인장 학명 : Zygocac.. (자트로파) 세번째 꽃을 피운 자트로파 포다그리카 밑동이 호리병처럼 생기고 꽃이 산호처럼 핀다고해서 산호유동 이라고도 불리는 자트로파 포다그리카가 세번째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겨울에 접어들어서인지 잎은 이제 2장 밖에 안남았는데 새로 잎을 내고있지는 않네요. 그저 열심히 나머지 꽃망울을 개화시키기만 할뿐.. 잎 이나 전체크기에 비해서 자그맣고 귀여운 꽃을 피워주는 자트로파 포다그리카 입니다. 요런 꽃망울이 생기면서 꽃줄기가 길어지고 있습니다. 가운데부터 귀엽고 깜찍한 꽃을 피워줍니다.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차례차례 개화해나가고 있습니다. 자트로파 학명 : Jatropha podagrica 대극과로 원산지는 아프리카, 아메리카의 열대 아열대지역 이다. 유통명은 자트로파, 산호유동, 대황으로 불린다. 다육식물로 밑동이 호리병처럼 생기고 꽃이 산호처럼 핀다고.. (익소라) 두달째 꽃피워주고있는 익소라 아열대식물 이라 화분에서 키우고있는 익소라가 지난달부터 두달째 꽃을 피워주고 있습니다. 환경조건만 맞으면 연중 수시로 한다발 부케 같은 주황색꽃을 피워주는데 바깥의 데크에 있을때부터 꽃망울을 만들고 차례로 꽃피워주더니 실내월동을 하기위해 거실창가에 둔 지금에도 여전히 꽃을 피워주고 있습니다. 우리집 익소라는 요런 주황색꽃을 피워줍니다. 가지 끝마다 꽃망울을 만들더니 차례대로 꽃을 피우고 있습니다. 두껍고 윤기나는 커다란 녹색잎과 주황색꽃이 잘 어울리지요? 익소라는 씨앗을 맺지않아 번식은 삽목으로 한다는데 까다로운지 삽목도 쉽지가 않습니다. 꽃이 피어나고 있습니다. 익소라 학명 : Ixora chinensis 꼭두서니목> 꼭두서니과> 익소라속 상록관목으로 원산지가 중국, 인도, 말레이시아 이다. 잎이 두툼.. (노란소국) 가을분위기 물씬 만개한 노란소국 얼마전 노란소국이 피기시작했다고 올렸는데요 이제는 완전 만개해서 완연한 가을분위기 입니다. 국화 중에서 노란소국이 제일 적응 잘하고 번식 잘해서 정원 여기저기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사과나무 아래 보라 아스타와 함께 피고있는 노란소국 입니다. 삽목이 잘되어 정원 여기저기에 심어주었습니다. 적작약 옆에도 노란소국이 있고.. 산수국 옆에도 노란소국이 만개하고 있습니다. 이 노란소국은 꽃봉오리 때와 막 피기시작할때 가운데 부분이 붉으레한데 활짝 피면 이렇게 완연한 노란소국이 됩니다. 배나무 옆에도.. 화살나무 같은 회잎나무와 보라 용담꽃과 같이 피고있습니다. 국화 학명 : Chrysanthemun morifolium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국화속 꽃말 : 성실, 정조, 고귀 크기는 30~100cm 이..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 130 다음